국내의 일반적인 음악 팬들에게 재즈는 그저 어려운 음악으로 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통념입니다. 지금 소개하는 것과 같이 유쾌한 앨범을 만나면 그것을 명백히 알 수 있게 되지요. 이 주의 명반은 재즈 초심자에게 추천하고 싶을 만큼 흥으로 가득한 앨범입니다. 허비 핸콕이 남긴 명반 중 하나인 <Head Hunters>입니다.
허비 핸콕(Herbie Hancock) <Head Hunters> (1973)
허비 핸콕은 드디어 자신의 음악을 통해 대중과 교감할 수 있는 순간을 맞이한다. 이 앨범에서 자신의 재즈 연주에 맞춰 춤을 출 수 있게 매혹적인 펑키 리듬을 전면에 부각시킨다. 흡사 파티용 댄스 음악을 연상케 하며, 재즈-퓨전이 최종목적으로 하는 ‘대중적인 재즈’로서의 모범을 그의 음악에서 구현하는 계기가 된 작품이다.
1960년대 말 펑키(funky)한 사운드로 미국의 젊은이들을 흥분시켰던 제임스 브라운과 슬라이 &훼밀리 스톤의 음악은 마일스 데이비스라는 저 위대한 재즈 대가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. 펑크는 당시의 흑인 젊은이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가공할 만한 흡인력을 지녔었고, 마일스를 위시한 젊은 재즈-휴전 음악인들은 하나 둘 그 음악이 보유한 흑인의 원초적 감성을 재즈 음악에 도입하기 시작한다.
허비 핸콕은 자신의 7인조 밴드 므완디시(Mwandish)를 통해 1970년대 초부터 펑크를 통한 다양한 실험을 전개한다. 이른바 아방-펑크(Avant-Funk)로 불렸던 그의 시도는 놀라웠지만, 대중성 확보라는 과제를 안기게 했다. 이에 허비 핸콕은 펑크를 통한 ‘실험’의 무거움보다는 ‘유희’의 즐거움을 택한다. <Head Hunters>의 댄서블한 연주음악은 예전에 그가 추구했던 펑키의 심각함에서 유쾌함으로 전환하는데 기여했다.
발매 직후 빌보드 앨범차트 13위와 200만장 판매라는 엄청난 상업적 성과 외에도 이 앨범이 갖는 의미는 그에게 남다르다. 펑키라는 아프리카 리듬에 대한 관심으로 흑인인 자신의 정체성을 공고히 했으며, 이제껏 백인 엘리트들의 전유였던 그의 재즈 음악이 인종을 초월해 당대 젊은이들의 감성을 공히 자극한 것이다.
첫 트랙 「Chameleon」은 제목이 암시하듯 앨범서 보여줄 그의 변신을 예고한다. 첫 도입부의 강한 무그 신시사이저의 울림이 강한 긴장감을 유발한다. 미국에선 2번째 박자에 턱이 나오면 히트한다더니 흐느적거리는 비트가 아닌 명료한 백 비트가 쉴 새 없이 이어진다. 4/4박자의 리듬은 단순 명료하지만 그의 키보드 연주엔 재즈적인 고도의 즉흥성이 느껴진다. 마치 “10-20대는 리듬을 즐기고 30-40대는 재즈 본연의 연주를 느껴라”고 하는 즐거운 협박처럼 들린다.
베니 머핀의 색스폰은 우렁차고, 폴 잭슨의 베이스 연주는 강한 그루브감을 연출하며 허비핸콕의 키보드 연주의 펑키한 느낌을 더한다. 헤비 메이슨의 드럼 연주는 흐느적거림 없이 업 템포의 밀착감이 느껴진다. 퍼커션을 담당하는 빌 섬머의 아고고와 쿠이카(동물 울음 소리를 만들어 내는 브라질 타악기)연주로 이국적 정취가 물씬 풍기는 열대 우림의 정글로 초대한다.
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에게 바친다는 세 번째 트랙 「Sly」는 이 앨범이 바로 슬라이 스톤의 강한 영향 아래 솟아났음을 암시한다. ‘진짜 펑키의 진수를 들려주마’하며 이제까지의 연주는 순전히 예고편이었음을 만방에 고한다. 곡 중간 부분을 완전히 포위하고 있는 그 살벌한 연주는 그야말로 펑키 연주의 강한 매력은 바로 ‘즉흥성’에 있음을 느끼게 한다. 자신은 “재즈를 염두에 두지 않고 내키는 데로 연주했다”고 하지만 늘 새로운 변신을 꿈꾸던 그의 치밀한 계획성이 돋보이는 명반이다. 럭비공 튀는 듯한 예측불허의 시도는 마침내 자신의 음악에 열광할 ‘사람사냥’(headhunting)의 성공을 창출해냈다.
허비 핸콕(Herbie Hancock) <Head Hunters> (1973)
허비 핸콕은 드디어 자신의 음악을 통해 대중과 교감할 수 있는 순간을 맞이한다. 이 앨범에서 자신의 재즈 연주에 맞춰 춤을 출 수 있게 매혹적인 펑키 리듬을 전면에 부각시킨다. 흡사 파티용 댄스 음악을 연상케 하며, 재즈-퓨전이 최종목적으로 하는 ‘대중적인 재즈’로서의 모범을 그의 음악에서 구현하는 계기가 된 작품이다.
1960년대 말 펑키(funky)한 사운드로 미국의 젊은이들을 흥분시켰던 제임스 브라운과 슬라이 &훼밀리 스톤의 음악은 마일스 데이비스라는 저 위대한 재즈 대가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. 펑크는 당시의 흑인 젊은이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가공할 만한 흡인력을 지녔었고, 마일스를 위시한 젊은 재즈-휴전 음악인들은 하나 둘 그 음악이 보유한 흑인의 원초적 감성을 재즈 음악에 도입하기 시작한다.
허비 핸콕은 자신의 7인조 밴드 므완디시(Mwandish)를 통해 1970년대 초부터 펑크를 통한 다양한 실험을 전개한다. 이른바 아방-펑크(Avant-Funk)로 불렸던 그의 시도는 놀라웠지만, 대중성 확보라는 과제를 안기게 했다. 이에 허비 핸콕은 펑크를 통한 ‘실험’의 무거움보다는 ‘유희’의 즐거움을 택한다. <Head Hunters>의 댄서블한 연주음악은 예전에 그가 추구했던 펑키의 심각함에서 유쾌함으로 전환하는데 기여했다.
![]() |
첫 트랙 「Chameleon」은 제목이 암시하듯 앨범서 보여줄 그의 변신을 예고한다. 첫 도입부의 강한 무그 신시사이저의 울림이 강한 긴장감을 유발한다. 미국에선 2번째 박자에 턱이 나오면 히트한다더니 흐느적거리는 비트가 아닌 명료한 백 비트가 쉴 새 없이 이어진다. 4/4박자의 리듬은 단순 명료하지만 그의 키보드 연주엔 재즈적인 고도의 즉흥성이 느껴진다. 마치 “10-20대는 리듬을 즐기고 30-40대는 재즈 본연의 연주를 느껴라”고 하는 즐거운 협박처럼 들린다.
베니 머핀의 색스폰은 우렁차고, 폴 잭슨의 베이스 연주는 강한 그루브감을 연출하며 허비핸콕의 키보드 연주의 펑키한 느낌을 더한다. 헤비 메이슨의 드럼 연주는 흐느적거림 없이 업 템포의 밀착감이 느껴진다. 퍼커션을 담당하는 빌 섬머의 아고고와 쿠이카(동물 울음 소리를 만들어 내는 브라질 타악기)연주로 이국적 정취가 물씬 풍기는 열대 우림의 정글로 초대한다.
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에게 바친다는 세 번째 트랙 「Sly」는 이 앨범이 바로 슬라이 스톤의 강한 영향 아래 솟아났음을 암시한다. ‘진짜 펑키의 진수를 들려주마’하며 이제까지의 연주는 순전히 예고편이었음을 만방에 고한다. 곡 중간 부분을 완전히 포위하고 있는 그 살벌한 연주는 그야말로 펑키 연주의 강한 매력은 바로 ‘즉흥성’에 있음을 느끼게 한다. 자신은 “재즈를 염두에 두지 않고 내키는 데로 연주했다”고 하지만 늘 새로운 변신을 꿈꾸던 그의 치밀한 계획성이 돋보이는 명반이다. 럭비공 튀는 듯한 예측불허의 시도는 마침내 자신의 음악에 열광할 ‘사람사냥’(headhunting)의 성공을 창출해냈다.
글/ 정우식(jassboy@hanmail.net)
‘대한민국 No.1 문화웹진’ 예스24 채널예스